…and…, Junghyun Kim, 2021

…and…
: On Lee Hyungkoo’s solo exhibition Chemical Volume at P21

Junghyun Kim / Art Critic

 
Gold and Flesh

The human body is not purely human. That is, aside from the freshly born infant equipped with all the essential cells and organs grown up in their mother’s womb. The discourses on the human body tends to rely heavily on biological theories, focusing merely on the “innate” traits. Discussions like racial discourse based on skin color or gender roles based on biological sex fall prey to the primitive impulse to relegate the complex culture of humanity to purely physical organisms.

Yet even physically, the human body is hardly “pure.” One might note this every time they get an x-ray. Over the years, the human teeth accumulate various foreign materials such as resin, glass ionomer, and gold with each visit to the dentist. That little chunk of gold the dentist filled in one’s molar is in fact, still a part of his or her body, much like the moisture, blood, proteins, fat, and bones that compose the body. Likewise, I realize the tiny, 3mm of graphite that has remained lodged under my hand skin for quite some time is also a part of my body. Sure, not everyone may be carrying bits of pencil graphite in their body, but dental prosthesis is quite common.

This goes beyond the semi-permanent foreign objects transplanted in our body. When we speak of bodies, we rarely refer to the naked body. Things like the clothes we are wearing or items such as glasses that we “attach” to ourselves on a regular basis are often included in discussions of one’s body. Any discussion that would exclude such components would be more limited to theoretical contemplation of the basic, raw body, in a manner of specific thought experiments. One scholar who argues that “artifacts are projections of the human body” explains that for example, fabric weaved from thread duplicates and augments the protective function of our skin. There are countless other objects that likewise supplement or expand the shape and functionality of human anatomy, such as hats, shoes, Band-Aids, pencils, cups, instruments, cameras, radio, and so on.

 
Body and Eyes

Then we come to Lee Hyungkoo’s helmets and gloves. These transparent objects bizarrely warp the shape of human body such as face and fingers in The Objectuals series (1999-2010), by refracting the light through lens or frames. They offer no enhancement of functionality, instead focusing solely on the shapes and mechanism of the body parts. Ultimately, the objects transform human faces into those of monstrous forms. Lee’s approach to extend the exterior continues into his exploration of the interior in Animatus (2004 – 2015), wherein he peels each layer of skin to dive into the underlying skeleton of fictional creatures. Lee then takes a sculptural approach to this in Face Trace series (2011-2012), further deepening the concept by adding fragments of muscles or skin atop the bones.

Lee is clearly interested in the human body. But just as Freud and his followers took more interest in genitals over any other body parts like the skin or the heart, perhaps Lee has paid particular interest in certain parts of the body more than on others, given his greater focus on the exterior form of the body than the internal workings such as memories or emotions. As for Freud, he provides paraphilic descriptions of objects in terms of their relation to the penis or the womb, projecting shapes of genitals on everyday objects. This projection, however, is different from how objects like eyeglasses, microscopes, or telescopes mimic and augment the human eye. Rather than projecting the formal or functional aspects of human anatomy to invent objects, the Freudian approach symbolically projects the body to already invented objects.

As for Lee, he seems keenly interested on the human face, and particularly the eyes, as evident in his early works on the body in The Objectuals all the way to Face Trace. Although Lee constructed entire skeletons in Animatus, the key focus of these animation characters are their exaggerated eyes and eye sockets. In one giant drawing featuring running skeletons, one blue eyeball fills the surface as if representing the entire life force of the fictional species, almost relegating the meticulously crafted anatomical illustration to the background. Lee explores his interest in the eyes more consciously and in a focused manner in the Eye Trace (2010) series. His bodysuits simulating the deer’s colorblindness, fish vision, and insect eyes through mirror devices and helmets suggest that bodies are synonymous to “visual beings” for Lee (in that vein, the bodily combination of human and horse in equestrian sport in Measure (2013 – 2014) series stands out distinctly among his works, because they focus more on muscular mechanism and choreographed movements than visuals.).

 
Substance and Change

Vision has long dominated the western philosophical world. The well-known proposition of “making the invisible visible” is not unique to modern ideology, but can also be found in western (or west-centric) rationalism or the sentimentality in contemporary romanticism. Meanwhile, when human intellect and sentiments no longer provided the main impetus behind progress, technology and machines began to take center stage. A certain filmmaker in the early 20th century advocated the use of cameras in place of the chaotic, inept human eye, arguing that the precision afforded by machines allows for a more moving experience. Is the age-old proposition still valid for such mechanical eyes, stripped of humanism? If they signify the shift away from physical concealment (like drawing a curtain aside to see what is behind it), we—realists or the worshippers of the ostensible surface—should be able to simply equate the external surface with the internal surface much like how Lee once stripped the epidermis to unveil the bones. The most awe-inspiring creation then must be medical fluoroscopy, while magic can be found in the capability of special equipment.

But as Lee shifts away from humanism through his interest in the non-human eye, he does not seek potential creativity in technological advancements. Rather, mutable traits of substances or materials provides the impetus for imagination in his works, as opposed to the inherent concept or physical stability of objects. In other words, Lee explores the surreal distortion of the exterior rather than the exterior itself. He supplements the individual traits missing from phrenology rather than studying the bone under the skin itself. He studies the chemical changes in addition to biological structures. Such focuses of the artist have been visualized in the titles of his two most recent exhibitions with the word “Chemical.” The word hints at Lee’s attitude on the changes that take place across multiple layers and depths. When one considers how wittily he prepared his previous works, one cannot help but take seriously his half-jokingly said remarks about how he thought of making people get drunk and see what changes they show as part of the work. Chemical changes inside the body happen more quickly and continuously than other biological changes. Perhaps that is what Lee seeks; rather than a fixed form with stable matter, the explosive life force generated by rapid chemical reactions.

Since X (2019), fragments of abstraction have been the key aspect of Lee’s works. As a central axis that provides order amongst the myriads of different elements, Lee uses a grid to add depth and perspective. Although everything was attached to a grid in X, Chemical’s central work X Variation (2021) presents some pieces drifting far from the aluminum axis and scattered across the hall like the aftermath of an explosion. Given the dominant presence of the grid in outlining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sculptural form, such absconding elements present a sense of outward motion, as if they shot out from the central axis. Upon staring at these fragments molded out of Lee’s favorite materials such as papier-mâché and transparent plastic bottles, one grows audacious enough to try constructing some coherent form out of incongruous materials in the style of Gallus (2015), a work almost made in jest by putting together and magnifying leftover chicken bones. Would any recognizable form appear when the puzzle is put together? The pieces will likely not match given the subtle yet deliberate neglect of objective scientific analysis, much like how Lee boldly laced the Caucasian skull sample with the cast of his own skin off his nose.

In Chemical Volume, the grid takes one step back and remains only as a drawing. But as the title of the show emphasizes “Volume,” multi-dimensional considerations remain a significant aspect of Lee’s works in this exhibition. The polyurethane foam that Lee recently began to use may appear similar to other materials in its irregular shape and texture, but stands out in an interesting way in that it is impossible to control the shape and color given the sculpting process thereof. Just imagine this sculptor of most stringent discipline try to calculate the formula to meet his intent as he continues to experiment with the unruly material swelling as it pleases with each addition of the blowing agent. Without a doubt, the polyurethane foam elements play the leading role in this exhibition. As large as a human head, Violet (2021) attracts attention right at the entrance of the space. Two small mint-colored fragments stare at each other mid-air in Polar (2021), with which one cannot help but notice the inherent power in each fragment. Such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size and influence of polyurethane foam pieces can also be found in the pale orange sculpture placed in front of Chemical Volume’s (2021) mirror. Evoking images of human flesh, the small piece appears even more bizarre in its reflection in the mirror. Such uncanny appearance is further augmented by the unlikely combination of the sleek aluminum frame, medical tubes, and objets still wrapped with the warning labels.

 
and The End

At this juncture, one must ask the question of how Lee’s interest in the body and the focal point of his perspective on the body play into his recent works. Even if the result of dismantling and reassembling anatomical elements such as the skull or torso are inhumanly abstract forms, they will in fact remain yet another form of expression representing the human body. The eyes that view the human body have long remained impure, even without including a touch of humanistic perspective. Likewise, even if the sculptor does not sculpt specific forms, the eyes that peer at the language of the materials the sculptor has handled remains sufficiently impure. Although the “body parts and sculptures” in Lee’s works seem as disparate as gold and flesh, they manage to coexist quite naturally. To define it more specifically in terms of the body, Lee’s focus lies on the ontological sphere of influence of the eyes, preferring to pursue the ideals of change rather than physical stability.

The linguistic reasoning that enables the juxtaposition of two words provides a slight clue on how to approach this incomprehensibly vast world, for instance, a world wherein polar opposite emotions like depression and humor can coexist, or the moment of zooming out and recognizing, all in one side, all sorts of things that are often said to be polar extremes.


…와 … :
P21 이형구 개인전 《Chemical Volume》에 부쳐

김정현 / 미술비평가

 
금과 살

인간의 몸은 순수하지 않다. 어머니 배 속의 세포가 신체 기관을 골고루 갖춘 태아로 성장해서 세상에 탄생한 바로 그 순간의 벌거벗은 유기체를 인간 신체의 표본으로 삼지 않는다면 말이다. 신체 담론은 종종 생물학적 이론에 과도하게 기대서 ‘타고난’ 특성만을 살피는 데 골몰한다. 피부색에 따른 인종 담론이며 성별에 따른 성 역할 구분이니 하는 것들은 인간에 관해 논하면서 인간의 복잡한 문화를 제쳐 놓고 순수한 생명체로 돌아가려는 원시적인 충동에 휩싸여 있다.

인간의 몸은 물질적으로 순수하지 않다. 치과에서 방사선 촬영을 할 때 마다 새삼스럽게 의식한다. 어린 시절부터 꾸준히 손봐온 치아에는 아말감이나 레진, 글래스 아이노머와 금과 같은 재료가 곳곳에 박혀 있다. 내 몸은 내 작은 금니를 포함한다. 수분과 혈액, 단백질과 지방, 뼈와 같이 타고 나서 생장하는 요소들 이외에 치과 의사가 심어준 광물들이 나의 신체를 함께 구성한다. 그러고 보면 손바닥 피부 아래 엷게 박힌 3mm 길이의 흑연도 오래 심어진 것으로서 내 몸의 일부다. 연필심 같은 건 아니더라도, 누구나 치아 등지에 보철물 하나씩은 갖고 있다.

반영구적으로 이식된 이물질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우리는 몸에 관해 이야기하면서 벌거벗은 몸을 기준으로 삼지 않는다. 당장 걸치고 있는 옷이나 안경과 같이 일상적으로 몸에 부착되어 있는 물질들을 떼어놓고 몸만 따로 생각할 수는 없다. 그것은 지극히 특수한 사고 실험의 하나로, 원초적인 몸에 관한 이론적 상상에 한정될 것이다. ‘만들어진 사물은 인간 몸이 투사된 것’이라고 주장하는 어느 학자는 예를 들어 실로 만든 천이 피부가 하는 신체의 보호 작업을 복제하고 증대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인간 신체 부위의 모양이나 능력을 보완하고 확장하는 것으로서의 사물의 목록은 끝없이 떠올릴 수 있다. 모자, 신발, 반창고, 연필, 컵, 악기, 카메라, 라디오…

 
몸과 눈

그리고 이형구의 헬멧과 장갑. The Objectuals 시리즈(1999-2010)에서 신체 형상을 기괴하게 왜곡하는 투명한 사물들은 얼굴이나 손가락 같은 신체의 특정한 부위를 렌즈나 프레임으로 굴절시켜 보여주는데, 신체 기능의 보완이나 향상 따위에는 거리를 두고 신체의 모양과 메커니즘에만 상상력을 집중해서 결과적으로 인간의 인상을 벗어난 괴물적인 얼굴들에 도달한다. 이렇게 신체의 ‘외부 표면’을 확장하는 장치는 ‘내부 표면’에 대한 사고로 이어진다. 픽션적인 얼굴에 어울리는 픽션적인 생물 뼈대 작업 Animatus 시리즈(2004-2015)에서 작가가 외부를 뒤집어 내부로 향하는 방법은 신체의 표면인 피부를 한 꺼풀 벗겨내는 것이었다. 여기에 근육이나 피부를 파편적으로 덧붙이는 소조적 작업은 Face Trace 시리즈(2011-2012)에서 개념적으로 심화된다.

인간의 몸에 대한 이형구의 관심은 명백하다. 그런데 프로이트와 그의 후예들이 인간의 성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피부나 심장과 같은 신체 부위가 아니라 음경과 자궁에 각별한 관심을 가졌던 것처럼, 기억이나 감정과 같은 몸의 내면적 작용보다 신체의 외형에 관심이 많은 작가가 좀 더 주의를 기울인 신체의 특정한 부위가 있지는 않을까. 프로이트의 경우에는 사물에 대하여 음경이나 자궁과의 관계를 도착적으로 서술해내는데, 그 동안 일상적인 것으로 여겨져 왔던 물건들은 성기의 모양을 투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것은 안경이나 현미경, 망원경과 카메라 같은 사물이 수정체의 기능을 복제하고 증대한 순서와 다르다. 신체를 투사하여 사물을 만드는 것과 달리, 만들어진 사물에 신체를 상징적으로 투사하는 것이다.

이형구의 경우 신체에 관한 초기 작업 The Objectuals부터 Face Trace까지 얼굴, 그 중에서도 안구에 대한 관심이 중요해 보인다. Animatus에서는 전신을 조형했지만 애니메이션 캐릭터 같은 대상의 핵심-‘심장’은 과장된 크기의 눈알과 눈구멍이다. 종종 작가가 이들 달리는 뼈 조각과 함께 선보인 대형 드로잉에는 푸른 홍채의 안구 한 알이 가상의 생물의 생명력을 대표하듯 화면을 가득 채우고 있어서 모처럼 정교하게 고안한 신체의 해부학적 구조도가 뒤로 물러나 보일 정도다. 눈에 대한 관심은 Eye Trace 시리즈(2010)에서 보다 의식적이고 집중적으로 탐구된다. 사슴의 적록 색맹, 물고기의 측면 시야, 벌레의 눈을 헬멧과 거울이 달린 장치 등의 다양한 바디 수트로 구현한 것을 보면 그에게 신체란 ‘시각적 존재’에 다름 아닌 듯하다. (그런 면에서 인간과 말의 마장마술을 결합한 Measure 시리즈(2013-2014)는 지난 작업 중에서 이질적으로 돌출되어 보인다. 시각보다 근육의 메커니즘과 동선의 안무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물질과 변화

시각은 서구 철학사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점해왔다. ‘비가시적인 것을 가시적으로 만든다’는 잘 알려진 명제는 근대의 이념에만 속하는 것은 아니라 지식과 진리를 추구하는 서구 (중심적) 문명의 역사에서 이성과 결합한 합리주의의 전통 속에 나타나는가 하면 감성과 결합한 현대성의 낭만주의적 계보에 등장하기도 한다. 한편 인간의 지성과 감성의 계발이 더 이상 진보의 추진력이 되지 못하고 주춤하는 사이에 과학 기술과 기계 장치가 주인공 자리를 꿰찬다. 20세기 초의 어느 영화감독은 인간의 혼란과 무능보다 전기의 정확한 방식이 더 감동적이라며 불완전한 인간의 눈을 대신하는 카메라의 완전한 눈을 지지했다. 인간주의에서 벗어난 기계의 눈에 있어 저 오래된 명제는 의제로서 여전히 유효할까. 그것이 커튼 너머의 시야를 확보하는 것과 같은 물리적인 탈 은폐를 의미한다면, 표면의 숭배자인 우리 리얼리스트들은 이형구가 과거에 피부를 벗겨 뼈를 드러냈듯 외부 표면의 내부를 단순히 내부의 표면과 동일시 할 수 있을 것이다. 가장 경이로운 창조는 의학적 투시 조영 기술일 테고, 신비는 특수 장비의 보유 능력에서 발생할 테다.

그러나 비 인간의 눈에 대한 관심을 통해 인간주의에서 벗어나는 이형구는 기술적 첨단에서 창작의 가능성을 찾지 않는다. 사물 그 자체의 개념이나 물리적 견고함보다 물질의 변화하는 속성이야말로 그의 작업에서 상상력이 발휘되는 지점인 것이다. 즉, 외양 그 자체보다 외양의 초현실적 왜곡, 피부 아래의 뼈 자체보다 골상학에서 유실된 개별적 인상에 대한 보충, 생물학적인 구조 못지않은 화학적인 변화에 대한 탐구. 최근 연달은 두 편의 전시 제목으로 가시화된 ‘Chemical’이라는 개념은 여러 층위에서 변화에 대한 작가의 태도를 엿보게 한다. 십여 년 전 사람들이 술을 마시고 변하게 하는 작업을 하려했다는 작가의 말은 위트 있는 개념을 감각적으로 구현해 온 그의 지난 작업들을 고려할 때 진지하게 듣게 된다. 신체 내부의 화학적 변화는 생물학적 변화에 비해 단기간에 빠르게, 지속적으로 일어난다. 질료가 안정되어 고정된 형상보다 화학 반응을 일으키듯 변화무쌍하게 일어나는 순간의 생명력이야 말로 그가 추구하는 것일까.

이형구의 작업은 <X>(2019) 이래로 추상적인 파편이 주조를 이룬다. 무수히 많은 요소들에 질서를 부여하는 중심축으로서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그리드는 입체의 개념을 존속시킨다. <X>에서는 모든 요소가 그리드에 부착되었으나, 《Chemical》전(2021)의 중심 작업인 <X Variation>(2021)에서는 일부 조각들이 스테인리스 스틸 축을 한참 벗어나서 넓은 전시장에 폭발한 듯 산재해있다. 입체적 형상의 구조적 조형에 있어 그리드의 존재감은 강력해서 이렇게 벗어난 요소들이 중심축으로부터 바깥으로 튀어나간 듯한 운동성의 방향을 짐작하게 한다. 여기서 페이퍼 마쉐와 투명 플라스틱 페트병과 같이 작가가 즐겨 사용하는 익숙한 재료로 빚은 파편들을 바라보다 보면, 치킨 먹고 남은 닭의 뼈를 맞춰 확대했다는 <Gallus>(2015)의 농담 같은 예술을 따라 하나의 형상을 구축해보려는 욕심이 생긴다. 퍼즐 조각을 다 맞추면 알만한 형상이 나올까? 아마 코카시안의 두개골 표본에 자기 코의 피부를 떠서 바른 과감한 개입처럼(‘Face Trace’) 객관적인 과학적 분석을 어기는 것이 슬쩍 끼어 있어서 짝이 안 맞을 것이다.

《Chemical Volume》전에서 그리드는 드로잉으로 물러나 있지만 제목에서 ‘볼륨’을 다시 한 번 강조할 만큼 입체적 사고의 중요성은 여전하다. 작가가 근작에서 사용하기 시작한 폴리우레탄 폼은 비정형의 모양과 질감이 다른 재료들과 유사해보이지만 조형 방식 상 크기와 형태와 색상을 통제할 수 없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발포제를 섞으면 제멋대로 부풀어 오르는 재료를 계속 실험하며 이 엄격한 조각가가 우연과 의도의 방정식을 계산하는 모습을 상상해보라. 폴리우레탄 폼으로 빚은 요소들은 이번 전시에서 분명하게 주역을 맡고 있다. 사람 머리만한 크기의 <Violet>(2021)이 전시장 입구에서 간판 역할을 하며 먼저 눈길을 끌고, 두 개의 작은 민트색 조각이 빈 공간을 사이에 두고 허공에 떠 마주보고 있는 <Polar>(2021)에서는 개별 조각이 품은 힘을 의식하게 된다. 크기에 반비례하는 폴리우레탄 폼 조각의 존재감은 <Chemical Volume>(2021)의 거울 앞에 놓인 연주황색 조각에서도 마찬가지다. 살점을 연상케 하는 작은 조각은 거울에 비쳐 일그러진 모양으로 기이한 인상을 더하고, 그것을 둘러싼 매끈한 알루미늄 프레임의 질감과 의학용 튜브나 주의 문구가 적힌 포장지 채로 부착된 오브제 등의 이질적인 조합으로 연결된다.

 
… 그리고 끝

몸에 대한 관심과 그것을 바라보는 시각의 중심성은 작가의 최근 작업에서 어떻게 작동하고 있을까. 두개골이나 몸통과 같은 신체의 요소를 해체해서 재조합한 결과가 인간적 형상이 아니라 추상적인 것이더라도 그것은 신체의 또 다른 표현일 것이다. 인간주의적 시선을 섞지 않아도 인간의 몸을 바라보는 눈은 이미 오래 전부터 순수하지 않다. 조각가가 구체적인 형상을 빚지 않아도 그가 다듬어 온 질료의 언어를 바라보는 눈이 충분히 순수하지 않은 것처럼. 이형구의 작업에서 ‘신체와 조각’은 금과 살처럼 이질적인 듯 하지만 자연스럽게 공존하고, 몸보다 좀 더 구체적으로 특정하자면 눈의 존재론의 자장에 있고, 물질적 안정보다는 변화의 이상을 따른다.

그리고 두 개의 단어를 상대시키는 언어적 사고의 방법은 광대무변한 세계를 상대로 약간의 실마리를 잡게 해준다. 우울과 유머와 같은 양극적인 것이 공존하는 감성이든, 실은 양극적이라 말하는 많은 것들을 한쪽 편으로 인지하게 되는 줌아웃의 순간이라든지.

ShareTw.Fb.Pin.
...

This is a unique website which will require a more modern browser to work!

Please upgrade today!